인문모빌리티융합학과

인문모빌리티융합학과는
모빌리티와 인프라를 인문적, 사회적, 기술적 관점에서 통합적으로 이해하고,
변화하는 도시와 사회에 대응할 수 있는
창의적이고 융합적인 리더를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통해 지속 가능한 미래를 이끄는 모빌리티 인문학자와 인프라 혁신가를 배출하고자 한다.
인문모빌리티융합학과는 인문 모빌리티 전공과 기술 인프라 전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트랙 간의 융합을 촉진하는 공통 과목을 통해 학생들에게 다학문적 사고와 문제 해결 능력을 키운다.
<인문 모빌리티> 전공의 교육목표
1) 모빌리티의 사회적·문화적 의미를 이해하고, 인간 중심의 모빌리티 시스템을 설계할 수 있는 역량을 키우고,
2) 도시 공간, 글로벌 모빌리티, 디지털 전환 시대, 기후변화 시대의 모빌리티 이슈를 인문학적·사회과학적 관점에서 분석하며,
3) 미래의 바람직한 모빌리티 문화를 창출할 수 있는 비판적 사고력과 창의적 기획 능력을 배양하는 것이다.
<기술 인프라> 전공의 교육 목표
1) 교통, 통신, 에너지 등 물리적 인프라의 설계 및 운영 원리를 이해하여 기술 기반 문제 해결 능력을 키우고,
2) 데이터 기반 모빌리티 분석, 스마트 인프라 구축, 지속 가능한 도시 시스템 개발에 필요한 실무 역량을 강화하며,
3) 기술적 전문성과 더불어 사회적·환경적 책임을 고려한 인프라 혁신 전략을 수립하는 능력을 배양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졸업 후에는 공공분야, 민간기업, 창업, 학계 및 연구기관, 국제기구 및 NGO 등의 진로로 나아갈 수 있다.
공공분야 도시계획 기관, 교통정책 연구소, 지방자치단체, 국책 연구기관(예: 국토연구원, 교통연구원)
민간 기업 스마트 모빌리티 기업, 모빌리티 스타트업, 인프라 엔지니어링 회사, 데이터 분석 및 컨설팅 기업
창업 도시 모빌리티 서비스, 지속 가능한 인프라 솔루션, 문화 기반 모빌리티 콘텐츠 개발 등
학계 및 연구기관 모빌리티 인문학, 도시 인프라 연구, 사회적 기술혁신 분야 연구·교육직
국제 기구 및 NGO 지속 가능한 도시 및 교통 관련 국제기구(UN-Habitat, World Bank 등), 글로벌 모빌리티 정책 단체